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운대구 제4선거구

덤프버전 :

||
파일:해운대구_제4선거구8재.png
선거인 수76,116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부산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해운대구 일부
반여1동, 반여4동, 반송1동, 반송2동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강무길 (재선)




1. 개요[편집]


부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의 북부에 위치한 반여1,4동반송동을 관할한다. 반여동 지역의 경우 흔하게 낙후된 지역이라는 인식이 있지만, 거긴 2,3동쪽 얘기고 개발이 비교적 많이 되어있으며 센텀2지구 도시첨단산업단지를 비롯한 재개발 사업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반송드립이 나왔던 반송동도 이 지역에 포함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센텀2지구 대상에 포함되어 있는 상태이다.

반송동의 보수세가 강하긴 하나, 반여동 지역의 표심의 영향으로 해운대구에서 가장 보수세가 약한 지역이다. 게다가 다른 지역구들은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으로 피보는 동네가 있던 것과 달리 여긴 그런 것도 거의 없었다. 다만 국민의힘 지지세가 결국은 앞서가기에 7회 지선 때를 빼면 모두 보수정당의 승리였다.

2.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
해운대구 제3선거구
제2대이수찬
ta-hash-start=w-01df33821f9ab1ef18f60970644192ec[[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1]
해운대구 제2선거구
제3대이중수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2]
제4대백선기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3][4]
해운대구 제4선거구
제5대백선기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5][6]
제6대2010년 7월 1일 ~ 2014년 4월 8일[7]
제7대강무길
ta-hash-start=w-954674fb3cb3c5ca77dba84adad450de[[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제8대남언욱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8][9]
제9대강무길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7월 1일 ~ 현재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해운대구 제3선거구
반여1동, 석대동, 반송1동, 반송2동, 반송3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수찬(李秀讚)19,1601위

ta-hash-start=w-52ec3baefcf93a558d994e1bcd3b5c3d[[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45.42%당선
2송관종(宋灌鍾)11,9082위


28.23%낙선
3김영두(金永斗)3,9304위

무소속

9.31%낙선
4송차랑(宋次郞)7,1793위

무소속

17.02%낙선
선거인 수70,096투표율
63.33%
투표 수44,397
무효표 수2,220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해운대구 제2선거구
반여1동, 반여2동, 반여3동, 석대동, 반송1동, 반송2동, 반송3동, 재송1동, 재송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중수(李重秀)30,551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53.05%당선
4송관종(宋灌鍾)14,8722위

무소속

25.82%낙선
5이부길(李富吉)12,1573위

무소속

21.11%낙선
선거인 수145,367투표율
41.70%
투표 수60,631
무효표 수3,051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해운대구 제2선거구
반여1동, 반여2동, 반여3동, 반송1동, 반송2동, 반송3동, 재송1동, 재송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백선기(白宣基)36,585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66.71%당선
3송관종(宋灌鍾)18,2492위

무소속

33.28%낙선
선거인 수150,107투표율
38.36%
투표 수57,590
무효표 수2,756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해운대구 제4선거구
반여1동, 반여4동, 반송1동, 반송2동, 반송3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백선기(白宣基)30,981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73.51%당선
6김종오(金鍾悟)11,1612위

무소속

26.48%낙선
선거인 수91,387투표율
47.49%
투표 수43,406
무효표 수1,265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해운대구 제4선거구
반여1동, 반여4동, 반송1동, 반송2동, 반송3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백선기(白宣基)25,126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58.37%당선
2장요엘(張요엘)17,9192위
41.62%낙선
선거인 수90,861투표율
48.95%
투표 수44,484
무효표 수1,439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해운대구 제4선거구
반여1동, 반여4동, 반송1동, 반송2동, 반송3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무길(姜茂吉)29,2151위
60.23%당선
2김우룡(金雨龍)19,3882위
39.76%낙선
선거인 수89,480투표율
55.58%
투표 수49,831
무효표 수1,328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해운대구 제4선거구
반여1동, 반여4동, 반송1동, 반송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남언욱(南彦旭)25,0691위
54.35%당선
2강무길(姜茂吉)21,0492위
45.64%낙선
선거인 수80,900투표율
59.55%
투표 수48,178
무효표 수2,060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해운대구 제4선거구
반여1동, 반여4동, 반송1동, 반송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명원(李明源)13,3552위
35.75%낙선
2강무길(姜茂吉)23,9981위
64.24%당선
선거인 수76,116투표율
50.45%
투표 수38,401
무효표 수1,048
더불어민주당에서는 남언욱 시의원이 구청장 출마를 선언하며 새 후보를 찾아야 한다.[10] 대신 반여1,4동에서 3선 구의원을 역임 중인 이명원 구의회 의장이 단수공천을 받았다.

국민의힘에서는 반송동에서 재선을 한 황병두 구의원이 단수공천을 받았으나, 구청장 선거에 출마하려던 강무길 전 시의원이 여기로 선회하여 경선을 치루게 되었다. 경선 결과 강무길 후보가 승리하며 재선에 도전한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구도가 형성되었다.

개표 결과 국민의힘 강무길 후보가 28.5%p 정도의 격차로 시의회 복귀에 성공하였다. 강무길 후보는 동별로 보면 반여1동에서 61.9%, 반여4동에서 64.3%로 비교적 민주당세가 있고 이명원 후보의 기반인 반여동 지역에서 낮은 득표율을 올렸으며, 반송2동에서 66.8%, 반송1동에서 68.7%로 이명원 후보의 기반이 빈약하고 보수세가 강한 반송동에서 2배 이상의 격차로 비교적 높은 득표율을 올렸다. 관외사전투표에서는 57.9% : 42.1%로 이명원 후보가 그나마 40%를 얻는데 성공했지만, 그것조차 15%p 이상이라 35%대를 유지하는 수준 정도밖에 안됐다.


[1] 반여1동, 석대동, 반송1동, 반송2동, 반송3동[2] 반여1동, 반여2동, 반여3동, 석대동, 반송1동, 반송2동, 반송3동, 재송1동, 재송2동[3] 반여1동, 반여2동, 반여3동, 반송1동, 반송2동, 반송3동, 재송1동, 재송2동[4] 1998년 10월 1일에 석대동이 반송1동에 통합되었다.[5] 반여1동, 반여4동, 반송1동, 반송2동, 반송3동[6] 2005년 9월 5일에 반여4동이 반여1동으로부터 분동되었다.[7] 6회 지선 해운대구청장 출마를 위해 사직.[8] 반여1동, 반여4동, 반송1동, 반송2동[9] 2015년 10월 1일에 반송3동이 반송1동에 통합되었다.[10] 막상 경선 기회도 못얻고 홍순헌 구청장이 단수공천을 받았으며, 그 홍순헌 후보도 본선에서 김성수 후보에게 패하였다.